티스토리 뷰

목차



     

     

    상법 개정안 수혜주 20선 및 선정 이유, 적정 매수단가

    상법 개정안은 기업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 주주 권익 확대, 이사의 충실의무 확대(회사→주주), 전자주총 활성화 등으로 요약됩니다. 이에 따라 지주회사, 저PBR(주가순자산비율) 기업, 고배당주, 전자주총 솔루션 기업 등이 대표적인 수혜주로 꼽힙니다.

    아래는 주요 증권사 리서치와 시장 분석을 바탕으로 선정한 상법 개정 수혜주 20개와, 종목별 수혜 이유, 적정 매수단가(2025년 6월 기준 최근 거래가 및 목표가 참고)입니다.

     

    종목 선정과 투자에 참고만 하시고 선택은 신중히 하시기 바랍니다.

    시장 상황 및 상법 개정 구체적 시행 내용에 따라 수혜 강도와 적정 매수단가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투자 전 최신 리포트 참고 바랍니다.


    종목명 선정 이유 및 포인트 적정 매수 단가(원) 매수단가 (원)
    콜마홀딩스 지주회사, 자회사 가치 부각, 저PBR 33,000~36,000
    KISCO홀딩스 지주회사, 자사주 활용 기대, 저평가 12,000~13,500
    영원무역홀딩스 지주회사, 저PBR, 자회사 가치 부각 55,000~60,000
    태광산업 저PBR, 자산가치 부각, 배당 확대 기대 1,000,000~1,05,000
    사조산업 저PBR, 순환출자 해소 기대, 자산재평가·배당 확대 기대 55,000~58,000
    HD현대 지주회사, 자회사 가치 부각, 지배구조 개선 기대 70,000~75,000
    금호석유화학 자사주 활용, 배당 확대, 저평가 120,000~130,000
    HD한국조선해양 자회사 가치 부각, 지배구조 개선 90,000~95,000
    고려아연 자회사 가치 부각, 배당 확대 기대 480,000~500,000
    동원산업 저PBR, 자회사 가치 부각, 배당 확대 270,000~290,000
    삼성중공업 자회사 가치 부각, 지배구조 개선 7,000~7,500
    세아홀딩스 지주회사, 저PBR, 자회사 가치 부각 120,000~125,000
    두산에너빌리티 지주회사, 자회사 가치 부각, 구조조정 효과 18,000~19,500
    진양홀딩스 저PBR, 자회사 가치 부각, 배당 확대 4,500~5,000
    한화오션 자회사 가치 부각, 지배구조 개선 35,000~38,000
    삼양홀딩스 지주회사, 자회사 가치 부각, 저PBR 90,000~95,000
    한국화장품제조 저PBR, 자회사 가치 부각, 배당 확대 40,000~43,000
    자화전자 저PBR, 자회사 가치 부각, 배당 확대 25,000~27,000
    두산 지주회사, 자회사 가치 부각, 구조조정 효과 70,000~75,000
    아나패스 저PBR, 자회사 가치 부각, 배당 확대 30,000~33,000

    추가로 주목할 만한 상법 개정 테마주

      • SK, LS, 삼성물산, 한화, SK스퀘어, KB금융, 신한지주 등은 지주회사·금융지주·저PBR·고배당주로, 상법 개정에 따른 주주환원 확대, 자사주 활용, 지배구조 개선의 직접 수혜가 기대됩니다.
      • 더존비즈온, 삼성SDS, NHN KCP 등은 전자주총·전자투표 솔루션 제공사로, 상법 개정으로 인한 전자주총 의무화 확산 시 수혜가 예상됩니다
    종목명 선정 이유 및 수혜 포인트 적정매수단가(원)
    SK 국내 대표 지주회사, 자사주 25% 이상 보유.
    상법 개정으로 자사주 활용·주주환원 정책 확대, 저PBR(0.5)로 재평가 기대
    190,000~205,000
    LS 지주회사, 자사주 14.8% 보유.
    자회사 가치 재평가, 배당성향 확대,
    자사주 소각 기대. 저PBR(0.4~0.5)로 리레이팅 가능
    60,000~65,000
    삼성물산 삼성그룹 지배구조 최상단, 자사주 9.2% 보유.
    상법 개정으로 지배구조 개선, 자회사 가치 반영 시 저평가 해소(PBR 0.4~0.5)
    120,000~130,000
    한화 대표 지주회사, 저PBR, 자회사 가치 부각, 배당 확대 기대.
    상법 개정으로 주주환원 정책 강화 가능성
    30,000~33,000
    SK스퀘어 투자형 지주회사, SK하이닉스 등 자회사 보유. 자사주 활용 구조 개편,
    저PBR(0.3~0.4)로 디스카운트 해소 기대
    35,000~38,000
    KB금융 고배당 금융지주(배당수익률 6%+),
    이사 충실의무 확대·주주권 강화로 배당성향 추가 확대 기대
    60,000~65,000
    신한지주 ESG·주주환원 정책 적극적, 중간배당·자사주 매입 등 주주친화 정책 지속.
    상법 개정으로 외국인·기관 수요 유입 기대
    40,000~43,000
    더존비즈온 전자주총·전자투표 SaaS 플랫폼 제공,
    상법 개정으로 전자주총 의무화 시 수요 급증 예상
    30,000~33,000
    삼성SDS 대기업 대상 전자주총·전자결재 솔루션 보유, 상법 개정에 따른 수요 확대 기대 140,000~150,000
    NHN KCP 전자결제·전자투표 시스템 제공, 상법 개정으로 전자주총·전자투표 확산 시 수혜 예상 15,000~16,500
     

    선정 이유 요약

    • 지주회사/금융지주: 자사주 활용, 자회사 가치 재평가, 배당 확대 등 주주환원 정책 강화로 저평가 해소 기대
    • 전자주총/전자투표 솔루션: 상법 개정에 따른 의무화 확산으로 솔루션 수요 급증 예상

    적정 매수단가 산정 기준

    • 2025년 6월 기준 최근 거래가, 증권사 목표가, 업종 내 밸류에이션(PBR 0.4~0.7배 등) 종합 고려

    참고: 시장 상황 및 상법 개정 구체적 시행 내용에 따라 수혜 강도와 적정 매수단가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투자 전 최신 리포트 참고 바랍니다.